fjrigjwwe9r3edt_lecture:conts 대장암 진단법
약 2m의 대장은 소화, 흡수 되고 남은 음식물이 머무르는 곳이며 이곳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으로 만드는 장소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 종류의 세균이 살고 있는 곳이며 대장점막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나 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대장암 발생율은 현저히 증가하고 있어 위암, 자궁암, 간암, 폐암 다음으로 많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대장암이 걸리는 빈도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비슷하며, 60대가 가장 많고, 70대와 50대가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그리고 5%-10%의 빈도로 30대, 40대의 젊은 사람에게서도 대장암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장암의 원인
대장암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유전인자보다도 환경인자의 비중이 큽니다. 즉 식생활의 급격한 서구화, 특히 동물성지방이나 단백질의 과다섭취가 대장암의 발생을 높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장암에 걸리기 쉬운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분들이 다음과 같습니다.
[대장암에 걸리기 쉬운 위험인자] ①대장폴립에 걸린 경험이 있는 경우 ②가족 중에 대장암에 걸린 사람이 있는 경우 ③오랜 기간 동안 궤양성대장염에 시달리고 있는 경우 ④고치기 어려운 치루에 걸린 경우
하지만 대장암에 걸리기 쉬운 위험 인자 일 뿐 반드시 대장암에 걸린다는 것은 아닙니다. 즉 암이 되는 것은 일부의 폴립이고 대부분은 암으로 발전되지 않지만 적절한 처치와 관찰이 필요합니다.
대장암의 증상
대장암의 흔한 증상은 변비와 설사 형태의 배변습관의 변화가 일어나고, 혈변나 점액변 복통, 소화불량, 복부팽만감, 복부종괴촉진, 체중과 근력의 감소,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발생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대장암의 증상은 달라집니다. [좌측 대장암] 대좌측 대장암 즉 좌측 결장암의 증상은 변비가 심해지고 전에 먹던 변비약이 효과가 점점떨어지면서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가끔 설사를 하기도 하나 다시 변비로 바뀌고, 배에서 소리가 나고 소화불량 증세를 보이며 체중이 빠지고 건강이 점점 나빠집니다.
[우측 대장암] 우측 대장암 즉, 우측 결장암은 증상이 거의 없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변비보다는 설사가 많습니다. 대부분 체중감소와 빈혈 등의 증상으로 쇠약해졌다는 느낌이 들고, 복부팽만, 식사후 트림 등을 호소하여 담낭염, 만성 충수염 위궤양으로 오진하기도 합니다. 우측 아랫배에 혹이 만져지지만 혈변이나 점액변은 거의 없습니다.
[직장암] 직장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으로 변을 참기가 힘들며 변을 본 다음에도 다시 보고 싶어 집니다. 처음에는 아침에만 이러다가 점점 진행되면 하루 종일 화장실에 가게 되며, 말기가 되면 점액과 혈변과 함께 통증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증상만으로는 다른 질환과 구별하기가 어려우므로 중년 이후에 소화불량이 있으면서 2-3주 이상 변보는 습관이 바뀌면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대장암 진단법
[직장수지검사]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검사가 직장에 손가락을 넣어서 만져 보는 직장수지검사입니다. 전문의가 검사할 때에는 직장암의 75%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잠혈검사] 대변에 약간의 피라고 섞여 나오는지를 알아보는 잠혈검사는 대장암에 대한 선별검사(screening)로서 간단히 받을 수 있는 검사입니다. 다른 원인에 의해 잠혈 반응이 양성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대장암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종양표지자 검사] 혈액검사에 의한 CEA(암태아성항원)를 측정하는 것으로 대장암환자일 경우 이 항원이 약 50%정도 증가되어 있지만 이것이 높다고 하여 대장암을 진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장 조영술] 방사선학적으로 대장점막의 윤곽변화를 보고 대장암을 발견하는 검사법으로 전체 대장의 윤곽을 볼 수 있으며 수술 전에 암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대장내시경] S상 결장까지를 관찰하는 짧은 내시경과 맹장까지 모든 대장을 관찰하는 긴 내시경이 있으며 대장조영술보다 정확도가 높습니다. 조직검사도 시행할 수 있어 확진이 가능하고 용종 등을 제거할 수도 있어 대장암 진단에 반드시 필요한 검사법입니다.
[복부초음파나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대장조영술과 대장내시경을 통해 대장암이 진단된 경우 병의 국소적 진행 정도와 원격전이 등을 보기 위한 검사법입니다.
|